Ajou Vision 5.0 Global Campus

공지사항

학술

화학과 세미나 안내 [25.03.26.(수) 17:00 성호관 131호] 화학과에서 아래와 같이 세미나를 실시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주관: 기초과학연구소(자율운영 중점연구소지원사업) 일시: 2025년 3월 26일 수요일 17:00 장소: 성호관 131호 연사: 이준우 교수(아주대학교 응용화학과) 주제: A Molecular Design Strategy for Green Solvent-Processable and Stable Polymer Semiconductors toward Applications Abstract: Polymer semiconductors hold promise for high-performance organic electronics, yet their reliance on harmful solvents and vulnerability under extreme conditions limit their practical use. Addressing these challenges, we developed a molecular design strategy incorporating asymmetric substitution and ionic pendant groups into conjugated polymers. This approach enables green solvent processability and enhances stability against humidity, heat, and mechanical stress. Additionally, a size-selective ionic crosslinking method using oligo(ethylene glycol) pendant groups and metal ions improves mechanical softness and toughness without sacrificing conductivity. This innovation supports robust stretchable electronics with enhanced humidity resistance and temperature-driven charge accumulation. Our integrated strategy advance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mechanically compliant polymer semiconductors, offering new opportunities for applications in sustainable sensors and energy devices. 2025년 수소연료전지 창의융합형 인력양성사업 교육프로그램 [25.02.11.(화) 혜강관 209호] 수소연료전지 창의융합형 인력양성사업단에서 아래와 같이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 일시: 2025.02.11.(화) 09:00-18:00 2. 장소: 혜강관 209호 3. 주관 - 수소연료전지 창의융합형 인력양성단(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아주대학교 BK21 탄소-제로 신재생 에너지시스템사업단 - 아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4. 모집인원: 선착순 80명 (참가비 무료, 포스터에 첨부된 QR코드 참고) 5. 문의: 윤상필 교수님(ysphil79@ajou.ac.kr)

기타

2025년 자율운영 중점연구소 세부과제 최종 선정 결과 2025년 자율운영 중점연구소지원사업 세부과제로 최종 선정된 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선정결과: 총 11과제 2025년 자율운영 중점연구소 2단계 2차년도 세부과제 공모안내 2025년 자율운영 대학중점연구소 2단계 2차년도 세부과제 공모안내 1. 개요 ❑ 배경 ○ 아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가 수행하고 있는 교육부 이공분야 자율운영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2단계 2~3차년도 사업기간 (2025.03.01 ~ 2027.02.28, 24개월) 동안 교내 기초과학 연구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연구과제 공모임. ❑ 목적 ○ 소규모 씨앗형 연구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초과학 분야의 창의적·도전적 연구, 중·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 있는 연구, 역량 있는 신진 연구인력의 독립적(PI) 연구 등을 기획·지원하여 기초과학 기반을 확충함. ○ 연결지성 기반 자연과학 융합 연구를 위해 줄기형 연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이로부터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 주제를 발굴, 지원하여 미래 과학을 선도할 신개념 제시. ❑ 연구 주제 : 자유공모 방식 ❑ 지원 대상 : 본교 기초과학 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박사후연구원(소속 연구소 무관) 2. 지원자 전공분야 및 신청 자격 가. 전공분야: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등 기초과학 분야 나. 신청 자격 ▷ 씨앗형(도전) 세부과제 - 기초과학 분야 교내 비전임교원 또는 박사후 연구원 (신청일 현재 재직 중인 연구자) ▷ 씨앗형(수월) 세부과제 - 기초과학 분야 교내 전임교원 (비전임교원 또는 박사후 연구원을 참여연구원으로 포함 가능) ▷ 줄기형 세부과제 - 기초과학 분야 교내 전임교원 (비전임교원 또는 박사후 연구원을 참여연구원으로 포함 가능) 다. 유의사항 ※ 세부과제 책임자는 3책5공 해당하며,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집단연구과제 1인1과제 제한 규정에는 적용받지 않음. (단, 상기 집단연구 과제 참여시 본 세부과제 연구기간 및 연차 연구비 조정) ※ 세부과제 책임자로 1과제만 지원 가능함. ※ 정당한 사유(이직, 퇴직, 사망, 질병, 육아, 타 사업 선정 등)없이 과제 중단할 경우 국가개발사업 참여제한 등의 제재조치가 취해질 수 있음. 3. 2단계 세부과제 사업기간 (사업 기간은 심사 평가 시 조정될 수 있음) ○ 일년과제 : 2025.03.01 ~ 2026.02.28. (12개월) ○ 다년과제 : 2025.03.01 ~ 2027.02.28. (24개월) ※ 다년과제는 연차평가에 따라 연구기간 및 연구비 재조정 4. 연구비/연구기간/선정 과제수 ▷ 최대 신청가능 연구비(12개월기준): 5,000만원(씨앗형 과제), 7,000만원(줄기형 융합연구) *연구비는 간접비 제외 순수 연구에 투입되는 금액임. ▷ 연구기간 : 1년(25.03~26.02.), 2년(25.03~27.02.) 중 택1 ▷ 선정과제수 : 총 7~8개 - 지원시, 지원유형(씨앗형 (도전, 수월), 줄기형) 중 택1 **** 연구비/연구기간은 선정평가 시 적정성과 사업예산 규모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5. 추진일정 2025.01.31.(금) - 2025.02.16.(일) : 과제 신청·접수 2025.02.17.(월) - 2025.02.28.(금) : 과제 평가, 선정 및 협약 2025.03.01.(토) - : 연구 개시 6. 신청 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2025.01.31.(금) - 2025.02.16.(일) 18:00 ○ 신청서 접수: 이메일 신청 (ajou-ribs@ajou.ac.kr) ○ 결과발표: 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판 게시 및 개별 메일 안내 예정 (아주대 자율운영 중점연구소 홈페이지 http://ribs2021.ajou.ac.kr) ○ 문의: eunyoungp@ajou.ac.kr 7. 제출 서류 ○ 2025년 자율운영 중점연구소 사업 세부과제 제안서 1부 ○ 2025년 세부과제 신청 증빙 자료 제출 양식 1부 ○ 2025년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1부 ○ 기수행 연구실적 1부 (※ 해당 사업의 1,2단계 세부과제를 수행한 연구자만 해당) 8. 평가 방법 ❑ 평가절차 ① 사전검토 ② 선정평가 ③ 종합심사 신청자격 검토 중복성 확인 ⇨ blind 평가 서류 및 토론 평가 ⇨ 선정결과 최종심의 및 선정 기초과학연구소 세부과제 선정위원회 심의위원회 ❑ 평가 주안점 (blind 평가) 공통: 기초과학적 접근 방법, 창의성 씨앗형(도전): 연구역량 씨앗형(수월): 연구목표/내용의 수월성 줄기형: 학문 연계성, 신분야 창출 가능성 [세부과제 연구제안서 평가 항목 및 배점기준] 씨앗형 세부과제 줄기형 세부과제 평가항목 배점 평가항목 배점 연구목표의 창의성(원천성) 및 도전성 50점 학문간 연계 우수성 30점 연구내용 및 방법 20점 연구내용 및 방법 20점 활용 및 기대효과 10점 활용 및 기대효과 20점 연구자 역량 20점 연구자 역량 30점 합계 100점 합계 100점 * 1,2단계 세부과제를 수행한 연구자가 신규과제 신청 시 기수행 연구실적에 대한 평가를 진행함. 기수행 연구실적 우수 연구자에 대해서는 10점 이내의 가산점 부여. * 임용된 지 1년 이내인 신임교원에 대해서는 10점 이내의 가산점 부여. 9. 씨앗형 과제와 줄기형 과제 비교 (예시) ○ 씨앗형 세부과제: 기초과학분야의 도전적이고 창의성 있는 주제로 6개 내외 선정 예정 ○ 줄기형 세부과제: 2개 이내 선정 예정 가. 융합분야 1 : 탄소중립 대응 탄소 재순환 과학기술 융합 연구 (물리학 + 화학 + 수학) ▶ 탄소 순환 촉매 물질 구성 원리 기반 빅데이터 물질 탐색 연구 ▶ 탄소기반 석유 화학 원료의 친환경적 활용을 위한 화학적 생물학적 연구 나. 융합분야 2 : 수리 분석에 기반한 질병 현상 연구 (생명과학 + 화학 + 수학) ▶ 노화 관련 면역 데이터 구축 연구 ▶ 노화 질병 관련 이미징 개발 연구

행사

2024년 아주대학교 산업수학·통계센터(ACMSI) 데이터 경진대회 안내 2024년 아주대학교 산업수학·통계센터(ACMSI) 데이터 경진대회 대회 개요 가. 주제 : 수학적 모델링과 PINN을 이용한 해법 나. 내용 1) 교육 : 미분 방정식을 이용한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을 익히고, 기계 학습을 위한 JAX 라이브러리로 물리정보 신경망(PINN)을 이용하여 모델의 해를 근사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2) 경진대회 :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물리정보 신경망,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수학적 모델에 대한 새로운 통찰이나 이해를 얻을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한다. 다. 모집 방법 1) 대상 - 개인 : 수학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 - 팀 : 3인 이하 팀 신청(타과생 신청 가능하나 팀 내 수학과 1인 이상 필수 포함) 2) 신청 방법 :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fned49@ajou.ac.kr) 3) 신청 기간 : 2024년 10월 30일(수) ~ 11월 14일(목) 18:00 라. 진행 일정 및 장소 1) 사전교육 진행 : 2024년 11월 20일(수), 22일(금), 25일(월) 16:30 ~ 18:30 - 강연자: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성원 박사, 양희준 박사 2) 데이터 경진대회 : 2024년 11월 25일(월) 사전교육 종료 후 ~ 12월 2일(월) - 사전교육 후 프로젝트 주제를 공개. 팀별로 문제를 해결하여 결과 제출 3) 결과 발표 및 시상 : 2024년 12월 2일(월) 16:30 ~ 18:30 일정 내용 장소 11월 20일(수) 미분 방정식을 이용한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과 고전적인 해법 팔달관 311호 11월 22일(금) 수치 계산과 기계 학습을 위한 JAX 라이브러리의 기초 사용법 11월 25일(월) JAX를 이용한 물리정보 신경망(PINN) 해법 팔달관 107호 12월 2일(월) 데이터 경진대회 발표 및 시상 마. 문의 아주산업수학·통계센터(팔달관 319호) 031-219-3816 / ahyungoo@ajou.ac.kr ※후원: 기초과학연구소 2024 Ajou-Kyushu-NIMS Joint Workshop on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국내외 산업 및 응용수학 분야에서 학문과 교육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아주대학교와 규슈대학교는 2018년부터 학술 교류를 이어왔으며, 지난 여름에는 규슈대학교에서 「2024 Summer School on Applied Mathematics」을 공동으로 개최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여름 학교의 교육 성과를 공유하며, 산업 및 응용수학 분야의 네트워크 형성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 드립니다. 행사명 : 2024 Ajou-Kyushu-NIMS Joint Workshop on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일시 : 2024년 9월 27일(금) ~ 29일(일) - 장소 : 아주대학교 팔달관 311호 & 수원 라마다호텔 오키드 홀 [대중강연] - 일시 : 2024년 9월 27일(금) 오후 4시 30분 ~ 5시 30분 - 장소 : 팔달관 311호 - 연사 : 박형주 교수님(아주대학교) - 주제 : Unreasonable effectiveness of pure mathematics - 초록 : Mathematics that used to be considered pure often addresses real world problems in unexpected and surprising ways. The concept of information entropy helps us to distinguish between valuable and worthless information. A nontrivial group called eliptic curve helped us to settle the longstanding Fermat's Last Problem, and also gave us a cryptosystem being used to protect credit card transactions. Algebraic topology successfully explains the phase transition of 2-dimensional materials like graphene and created a new area called topological physics to which 2016 Nobel Prize was awarded. Topology, by observe the shape of big data, also gave us a new way of predicting/diagnosing diabetes and breat cancer. - 문의 : 031-219-3816 or ahyungoo@ajou.ac.kr
READ MORE